본문 바로가기
  • 청산의바람흔적
  • [청산의바람흔적] 산에서 길을 묻다
  • [청산] 전 치 옥 / 산에서 배우는 삶
살아가는 이야기

chat GPT 교육을 받고...

by 청산전치옥 2025. 4. 17.

 쳇 GPT 교육받고 실습하기 ◈

[참고: 사진은 2025년 4월1일 촬영한 사진임]

 

4월 9일 3시간 쳇 GPT 교육을 받았다

참 신기하기도 하고 나름대로 유용하게 사용할 것 같아서 받았지요

그레서 직접 실험 하기로 하고

아래 화엄사 사진을 올려놓고 질문과 답변을 이어 갔지요

 

질문1) 위 사진을 보고 피어난 홍매화와 고운 한복을 입은 여성이 어우러진 장면으로, 불교적 관점에서 하나의 선(禪)적 풍경처럼 느껴지는 감정을 표현해줘

답변"찰나의 아름다움 속에서 무상을 본다."

붉은 매화는 이른 봄의 찰나에 피어나는 생명의 기운을 상징합니다. 그러나 이 찬란함도 머지않아 지고 말 것을 알기에, 그 아름다움은 더욱 깊고 고요하게 다가옵니다. 그것은 불교에서 말하는 ‘제행무상(諸行無常)’, 즉 모든 것은 변한다는 진리를 드러냅니다.

한복을 입고 매화를 올려다보는 여인의 모습은 마치 ‘일심(一心)’, 즉 한 생각에 머물러 있는 수행자의 자세처럼 보입니다. 마음을 모아 그 순간의 아름다움과 마주하고 있는 모습은 ‘지금 여기’의 충만함과 그 안에 담긴 진리를 깨닫는 수행의 순간과도 같습니다.

또한 매화와 여인, 고찰과 산사의 조화는 불교의 이상 중 하나인 ‘화엄(華嚴)’의 세계를 상징합니다. 서로 다르되 하나로 어우러지는 세계, 각각의 존재가 서로를 드러내며 공존하는 그 아름다움이 이 사진 속에 구현되어 있습니다.

마음으로 보면 꽃도 법문이다.
이 사진은 붉게 핀 매화가 한 송이 법화(法花)처럼 느껴지고, 바라보는 이의 마음을 맑게 씻어주는 무언의 선문답 같습니다.

 

질문2) 그럼 이 사진이 담고 있는 불교적인 정취와 감정을 담아 짧은 선시(禪詩) 형식으로 표현해줘

답변

홍매화 아래에서
고요한 바람 한 자락
붉은 꽃잎을 흔드니
마음 또한 흔들리네.

 

한복 고운 여인,
그대의 눈길 머문 곳
무상 속에 영원을 보고,
찰나 속에 진리를 듣네.

 

산사(山寺)는 말이 없고
꽃은 다만 핀다 하여도
이 순간
모든 법이 설해진다.

 

질문3) 또 하나의 버전으로 조금 더 현대적인 느낌으로 풀어주세요

답변

화엄의 봄, 그대와 함께
붉은 매화가 피어
산사에 봄을 전하듯,
그대의 발걸음도 조용히
이 자리로 왔네.

 

세상 모든 소리가 멎고
마음마저 숨죽인 순간,
꽃과 나, 그리고 그대—
서로가 서로의 거울임을 알게 된다.

 

봄은 왔다
그러나 그것은 다만 지나갈 뿐
그 지나감을 바라보는 그대가
곧 봄이네.

 

질문4)  혹시 한자로 된 고전적인 선시 형식으로 표현해 줄 수 있겠어요?

답변 

🌸 禪詩 - 紅梅下所思(홍매하소사)

紅梅爛漫照古寺,
(홍매란만조고사)
붉은 매화 찬란히 고찰을 비추고,

 

素衣佳人對香枝。
(소의가인대향지)
고운 옷차림 여인, 향기로운 가지 앞에 섬이여.

 

一念無聲開慧眼,
(일념무성개혜안)
소리 없는 한 생각, 지혜의 눈을 트게 하고,

 

空山依舊靜春時。
(공산의구정춘시)
봄이 와도 변함없는 산사의 고요함이여.

질문5)  위 한시를 우리말로 해석해 줘

답변   🧘‍♀️ 해석:

紅梅爛漫照古寺: 붉은 매화가 만개하여 오래된 절집을 환히 비춥니다.
素衣佳人對香枝: 소박한 옷을 입은 고운 여인이, 향기 가득한 가지 앞에 서 있습니다.
一念無聲開慧眼: 말 없는 단 한 생각이 지혜의 눈을 뜨게 합니다.
空山依舊靜春時: 봄이 와도 산사는 여전히 고요합니다.

이 선시는 자연, 인간, 수행, 무상이 어우러진 조화를 그려내며, 불교의 깊은 정취를 간결하게 담고 있어요

 

질문6) 이 시를 캘리그래피처럼 꾸며서 분위기 있게 감상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만들어 줄 수 있을까요?

답변  

 

질문7) 각 구절의 의미를 하나하나 풀어주세요

답변   🧘‍♂️ 원문 해석

  1. 紅欒爛漫照古寺
    붉은 매화가 찬란하게 피어나 오래된 절을 비춘다.
    → 이 구절은 봄날의 붉은 매화가 고찰(古刹)에 가득 피어, 그 찬란함으로 절의 고요한 공간을 환하게 물들이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이 그대로 수행의 경지로 이어지는 느낌입니다.
  2. 素衣佳人對香枝
    흰옷 입은 고운 여인이 향기로운 매화 가지를 마주한다.
    → 순백의 한복을 입은 여인이 꽃 앞에 서 있는 모습은, 마치 자연 앞에서 한 사람의 마음이 맑아지는 듯한 장면입니다. '향지(香枝)'는 향기로운 매화 가지로, 수행자처럼 꽃 앞에 선 인간의 겸손한 자세를 담고 있어요.
  3. 一念無聲開慧眼
    말 없는 한 생각이 지혜의 눈을 뜨게 한다.
    → 이 구절은 불교의 수행적 통찰을 표현합니다. 복잡한 생각 없이 오직 하나의 마음, 즉 ‘일념(一念)’에 집중할 때, 그 침묵 속에서 깨달음(慧眼, 혜안)이 열린다는 뜻이에요. 이 순간이 바로 '선(禪)'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4. 空山依舊靜春時
    산은 여전히 고요하고, 봄이 와도 변함이 없다.
    → 자연은 계절이 바뀌어도 본래의 고요함을 지키며, 절집 역시 세속의 흐름과 상관없이 평온을 유지합니다. 이는 불교에서 말하는 ‘본래의 면목’, 즉 변하지 않는 진리를 상징합니다.

🧘‍♀️ 종합적 의미

이 시는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무상 속의 찰나, 자연과 인간의 조화, 그리고 고요한 수행과 통찰의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한 송이 매화도, 그 앞에 선 한 사람도, 모두가 '법(法)'이 되는 화엄의 세계를 노래한 선시라고 볼 수 있어요.

질문8) 위 시를 짧은 명상문 버전으로 말해줘

답변  

붉은 매화가 피었습니다.

 

고요한 절의 돌담을 타고 퍼지는 그 붉은 빛…
나는 그 앞에 섭니다.

 

바람도, 새도, 사람도 소리를 멈추고
이 순간을 지켜봅니다.

 

말 없는 한 생각.
그 속에서 나는 비로소 나를 봅니다.

 

산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고,
봄이 와도 변하지 않는 고요함.

 

나 또한 그렇게
‘있는 그대로’ 피어날 수 있을까요?

질문9) 위 시를 카드형 스타일로 만들어 주세요

답변  

인공지능 발전은 정말 놀라운 일이죠.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주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네요. 이러한 기술을 보면서 감탄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꼭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각자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죠.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편리함과 효율성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전통적인 방법이나 인간의 직관을 중시하는 것도 충분히 가치 있는 선택입니다. 결국,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는 개인의 판단에 달려 있습니다.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프 리아넬 이야기  (0) 2025.05.02
🧡 노을 속에 물든 봄날의 공원 🧡  (2) 2025.04.22
진달래 엔딩  (2) 2025.04.12
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2) 2025.03.27
생성형 AI 강의를 신청하면서...  (2) 2025.03.15